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캔들스틱이란? 패턴과 차트분석의 기초

주식 차트분석에서 가장 기초가되는 캔들스틱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캔들스틱

주식 가격의 움직임을 그래프에 나타내기 위해 막대기 형태로 표시한 기호이며 가로축(X)은 시간, 세로축(Y)은 주식가격을 대입해 보여줍니다. 막대를 봉이라고도 하고 양초의 모양과 같다고 해서 캔슬스틱이라고 불립니다. 

 

 

 

하루동안 주식가격의 등락을 봉으로 나타낸것을 일봉, 일주일의 주가는 주봉, 한달은 월봉 이런식으로 
1분, 3분봉, 5분봉, 30분봉, 1시간봉 등 다양한 시간 대의 흐름을 간단한 모양으로 알수있습니다. 

 

 

 

양봉과 음봉

 

양봉과 음봉

일봉의 경우 주식 시장에서 거래가 시작된 가격(시가)보다 종가(마감가격)가 높을 경우 주가는 상승한 것(양봉)이고 이를 빨간색 막대로 나타내고 미국의 경우 빨간색은 하락을 나타냅니다. 반대로 음봉이란 종가가 시가보다 내린 경우이며 녹색으로 나타냅니다. 미국의 녹색은 상승을 의미합니다. 흑백차트시절에는 양봉을 White 캔들, 음봉을 Black 캔들이라고도 했습니다. 

 

 

 

시가와 종가

 

 

고가와 저가  

일봉이라면 하루 동안 주식이 가장 높은 가격이 고가, 가장 낮은 가격이 저가입니다. 

고가와 저가

 

 

 

 

 

장대양/음봉

 

아래위 꼬리가 없이 몸통이 긴 캔틀이라면, 반발세가 없이 그 움직임이 강하다는 뜻입니다. 장대양봉이면 매수세가 강하고, 장대음봉이면 매도세가 강하다고 할수있고, 강한 움직임은 이후 그 흐름이 계속되는 확률이 조금더 높기 때문에 추세는 지속되는 경우가 있지만, 아닌 경우도 있기 때문에. 전체적인 흐름과 거래량 분석이 같이 이루어져야 합니다.  

 

 

 


위끈이 긴 양봉(역망치형)

주가 상승은 했지만 더 강한 상승에 대한 반발 매도세가 강했다는 뜻으로, 다음 캔들이 긴 음봉이라면 하락세로 전환할수도 있습니다.  

 

역망치형 양봉

 

 

위끈이 긴 음봉(역망치형)

주가 상승하려 했지만 비해 매도세가 강해 주가 하락을 했으며, 상승의 시도가 있었기 때문에 다음 캔들이 긴 양봉이 나온다면 추세 전환의 신호로 볼수도 있습니다.   

 

 

 

역망치형 음봉

 

 


아래끈이 긴 양봉(망치형)

하락추세에 나타났다면 하락추세가 약해진다고 볼수 있으며 아래 꼬리가 길고 몸통의 길이가 짧을수록 상승 국면으로 전환될 가능성이 있지만, 이후 나타나는 봉의 모양에 따라 달라질수있습니다. 음봉보다 양봉에서 추세전환의 신호로 의미가 큼.  

 

 

망치형

 

 


아래끈이 긴 음봉(행잉맨)

가격이 크게 내려갔다가 그보다 적은 하락으로 마무리, 상승장에서 나타난다면 추세의 끝을 의미하기도 하고, 꼬리가 몸통에 비해 길어질수록 하락심리가 큰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불길한 뜻으로 행앵맨(교수형)으로 불립니다. 

 

행잉맨

 

 

 

 

 

점 상한가, 점 하한가 

시작과 동시에 주가가 상한가(최대상승치) 혹은 하한가(최대하락치)에 도달하여 가격변동없이 그대로 마감이 되는 경우입니다. 매수세와 매도세가 팽팽한 경우로 이후 한쪽 방향으로 추세가 전환 가능성도 있지만 확률은 반반이므로 이후의 움직을 더 지켜봐야 합니다. 

 

 

점 상/하한가

 

 

 


십자형(도지)

주가가 등락을 거듭하다가 시가와 종가가 같이 끝난 경우로, 매도세와 매도세가 팽팽하다 마무리되어 이후 반전 추세가 나올수도 있습니다. 위아래 꼬리가 길수록 더 팽팽한 흐름으로 간주합니다.  이렇게 시가와 종가가 같아서 몸통이 거의 없는 캔들을 도지(Doji)라고 합니다. 주변 캔들의 흐름에 따라 다양한 의미로 해석되므로 봉 하나만으로 추세를 판단하면 정확성이 떨어집니다. 

 

 

십자형

 



T자형(Dragon Fly Doji)

하락이 계속되다 반등하여 종가와 시가가 같아짐, 특히 하락세에서 이런 캔들이 나타났다면 나타났다면 이후 상승국면이 나타날수도 있습니다. 하락을 막을 만큼의 매수세가 어느정도있었다는 분석이기 때문입니다. 

 

 


ㅗ자형(Grave Stone Doji)

 

시가 이후 강한 상승을 보이다가 종가에 시가 수준으로 마감하는 형태로 상승추세에서 나타나면 하락을, 하락추세에서 나타나면 상승으로 추세전환의 신호이기도 하지만, 다른 캔들차트와의 전체적인 흐름으로  판단해야합니다. 

 

 

 


스피닝탑(Spinning Tops)

몸통에 비해 아래위 끝의 길이가 같고, 길이는 길수록 더 큰 힘을 나타냅니다. 매수와 매도의 형세가 팽팽한 국면에서 나타나는 중립적인 형태로 추세가 정해지는 방향으로 힘이 크게 작용할수 있습니다. 주로  지지나 저항이 크게 작용하는 상황에서 자주 나타납니다. 

 

 

 



스타 


몸통과 아래위 끝이 짧은 형태로 장대봉이 에 이어 자주 나타나는 유형으로 추세의 고점과 저점에서 나타날 경우 전환의 신호로 해석하고, 추세의 중간에서 나타날 경우 잠시 휴식을 가진 후 같은 추세로 진행되기도 하지만 힘겨루기가 약한 만큼 불확실성도 높습니다.  

 

 




주식 캔들 차트는 사려는 사람(매수세)과 팔려는 사람(매도세)의 움직임을 나타내는 지표고 사람들의 심리가 반영되어 있으므로 이를 분석해보면 과거 흐름의 이해와 앞으로의 움직임도 예상할수 있지만, 캔들 몇개만으로는 다양한 움직임을 예상할수 없고, 전체적인 흐름, 거래량을 비롯한 보조지표를 활용해야 더 정확한 분석이 가능합니다.  다음 시간에는 연속적인 두개의 캔들 움직임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