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지지선과 저항선의 원리와 특징

주식 차트 분석의 기초가 되는 지지선(Support line)과 저항선(Resistance line)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주가 흐름의 심리적 원인 

 

물결(파동)같은 주가의 흐름

 

어떤 회사의 주식이 오르면 소문을 듣고 많은 사람들이 그 주식을 사려고 하기 때문에 가격은 올라가게 되고 가격이 더 오르면 이익을 남기고 파는 사람들이 생겨서 상승세가 주춤하게 될겁니다. 이렇게 주가가 어느정도 상승하다가  횡보하거나(같은 가격대에 머뭄),  파는 사람이 많아서 가격이 떨어지게 되는 시점이 있고.  반대로 주가가 계속 하락하면 손해를 안보려고 파는 사람과 이제 어느정도 적정가격이라고 생각하고 사는 사람들도 있을것입니다. 

 

 

 

 



지지선 & 저항선 

지지선과 저항선

 

이런 과정이 반복되면서 주가는 오르락 내리락 하게되는데, 이러한 흐름을 주식 차트에서 보면  파도(물결) 모양으로 비유할수 있고,  상승과정에서 더이상 오르지 못하는 정점들을 연결한 선을 저항선, 하락세에서 더이상 하락하지 못하고 반등하는 저점들을 연결한 선을 지지선이라고 합니다. 사람들 마다 각자의 기준으로 선을 만들어서 흐름을 분석하는데 사용하고 일률적이고 정확한 공식에 근거한 기준은 없고 투자자 각자가 생각한대로 설정합니다. 

 

 

 


지지선이 생기는 원리 

정대만씨의 투자 일지

 

 

주식 차트에서 오르락 내리락 하는 주식 가격의 낮은 점들을 연결한 선이 지지선이라고 했습니다, 지지선이 생기는 이유는 그 가격대에서 주식을 산 사람이 많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어 정대만씨는 네이버 주가가 300원일때 주식을 샀고(A) 가격이 500원으로 올랐지만 다시 300원으로 떨어졌습니다. 

 

 

 

 


아직 손해를 본게 아니고 지난번 처럼 다시 오를거라는 기대로 300원에 주식을 추가로 매입했습니다(B). 이런 사람이 많다면 300원에서 매수세가 많아지기 때문에 하락하던 주가는 하락세가 약해져 300원에서 더 떨어지지 않고 횡보하게 됩니다. 이러한 원리로 더이상 하락하지 않는 가격대가 반복해서 나타난다면 그 지점을 지지선으로 볼수 있습니다.  

 

 


지지선은 본전 가격

이렇게 지지선이 생기는 이유는 해당 가격대에 사람들이 많이 물려있기 때문입니다. 사람들이 지지선 부근의 가격대를 본전가격으로 생각하고있고, 앞으로 주가가 지지선 가까이 다시 떨어지더라도 특별한 악재가 없는한 본전 가격 이하로는 떨어지지 않을거라고 예상할수 있습니다. 이렇게 과거 지지선에서 반등을 한 횟수가 많을 수록 앞으로도 반등을 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하락하던 주가가 지지선에서 반등을 한다면 매수를 고려해볼만한 시점이라고 볼수있습니다.      

 

 



저항선이 생기는 원리 

서태웅씨의 투자 일지


서태웅씨는 포스코 주식이 300원일때 매입을 하고(A), 주가는 500원까지 상승을 했습니다. 조금 더 오르면 좋겠다고 기다리는 사이에 주가는 200원으로 떨어졌고 마음을 졸이며 기다리다 500원으로 상승하자  200원의 이익을 얻으려는 마음으로 주식을 처분했습니다(B). 이것을 익절이라고 합니다. 또 누군가는 500원에서 샀지만 200원으로 하락하고 다시 500원이 되었을때 본전 가격에 처분할수도 있습니다. 

 

 

 

 


상승하던 주가가 500원 근처에서 이렇게 다양한 이유로 매도세가 많아지면 상승세가 약해지고 저항을 받아 횡보하거나 매도세가 더 강해지면 이후 하락할수도 있게 됩니다. 이러한 원리로 주가가 더 이상 상승하지 못하는 현상이 반복된다면 500원대를 저항선으로 볼수있습니다. 

 

 

 

 

 

 

 



지지선과 마찬가지로 저항선이 생기는 이유는 과거 저항선 부근 가격대에서 주식을 산 사람들이 많고, 그 가격대를 고가로 인식하고 있기 때문에 팔아서 차익을 남기려고 하기 때문입니다. 이렇게 지지선에서 가격이 떨어지는 현상이 반복된다면 특별한 호재나 대량의 매수가가 있지 않는한 당분간은 저항선 이상으로는 주가가 상승하지 않는다고 예상할수있습니다. 



 


지지선과 저항선의 역할 바꿈 

주가의 흐름상 지지선이 저항선이 되기도하고 그 반대의 경우도 발생하는데 이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1, 지지선이 저항선이 되는 경우 

홍길동씨의 투자 일지

 

홍길동씨는 300원과 500원 사이를 등락하는 삼성전자 주식을 400원이 되었을때 적정 가격이라는 생각으로 10주를 매입했고(A), 이후 주가는 300원으로 떨어졌습니다. 홍길동씨는 고민을 했지만  주가는 다시 오를거라는 믿음으로 300원에 주식을 10주 더 매입했습니다(B). 주식은 하락하는데 홍길동씨와 같은 생각으로 주식을 사는 사람들이 많다면 매수세가 많으므로 하락하던 주가는 300원대에서 하락이 둔화될겁니다 (지지를 받음). 

 

 

 

 

 


하지만 삼성전자의 실적이 안좋다는 발표가 있었고  홍길동씨의 기대와는 다르게 주가는 100원까지 떨어졌습니다. 홍길동씨는 스트레스를 받아 더 이상의 투자는 할수 없었지만, 삼성전자의 주식은 이제 바닥(저점)이라고 생각하는 사람들은 향후 가격 상승을 기대하고 주식을 매입해서 주가는 100원 이하로는 떨어지지 않고 횡보합니다(새로운 지지선). 

 

 

 

 

 

 


이후 실적 개선의 소식과 함께 경기 활성화로 주가가 올라 다시 300원이 되었는데, 홍길동씨를 비롯한 많은 사람들은 다시 주가가 떨어지는게 두려워서 300원에 주식을 처분하면(C) 매도세가 강해져서 주가는 더이상 상승하지 못하게 됩니다(새로운 저항선). 이런 식으로 주가의 흐름에 따라 기존의 지지선은 새로운 저항선이 되기도 하고 그 반대의 상황도 생깁니다. 

 

 

 

 




2, 저항선이 지지선이 되는 경우 

 

강백호씨의 투자 일지

 

 

강백호씨는 100원 대에서 상승하는 현대차 주식 10주를 200원에 매입했습니다(A). 이후 주가가 300원으로 상승했고, 투자금을 어느 정도 회수하기 위해 절반인 5주를 팔았습니다(B). 다른 사람들도 같은 생각으로 300원 대에서 주식을 처분하면(익절) 상승세였던 주가는 둔화되고(저항을 받음), 주가는 횡보하게 됩니다(기존 저항선).

 

 

 




이후 현대차가 좋은 실적을 거뒀다는 뉴스가 발표되고 주가는 500원으로 상승했습니다. 주가가 500원이 되자 강백호씨는 주가가 정점이라고 생각하고 나머지 5주를 전량 매도하였고(C), 많은 사람들도 같은 생각으로 처분함에 따라 주가는 하락하게 됩니다(새로운 저항선).  이렇게 하락을 거듭한 주가는 300원대가 되었고, 이전에 상승으로 재미를 본 사람들은 300원대의 주가가 싸다는 생각과 향후 상승을 전망으로 다시 주식을 매입하게되면 하락세가 둔화되고 기존의 저항선이었던 300원대의 주가는 새로운 지지선이 됩니다. 

 

 

 

 

 



이렇게 주가의 흐름이 바뀐다면 새로운 패턴을 찾아서 지지선과 저항선을 만들어 차트를 분석하면 됩니다.   


 



지지선과 저항선의 특징

 



1, 직전 고점 (Previous Peak)이 저항선이 되는 경우와 직전 저점 (Previous Low)이 지지선이 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직전 고점이 저항선

 

위에서 언급한것처럼 사람들이 많이 몰린 가격대에서 매도를 반복할 확률이 높기 때문입니다. 

 

 

 

 

 

 


지지선도 마찬가지로 사람들이 적정하다고 생각한 가격대로 가격이 떨어지는걸 막으려고 매입을 반복하기 때문입니다. 

 

 

 

 

 

 

 

이와 같이 일정기간 동안 정해진 범위 안에서 주가가 움직이지만, 규칙적으로 등락하기보다는 불규칙적한 패턴으로 움직이는 상황이 더 많습니다. 

 

 


2, 길이가 길수록 신뢰도가 높다. 

 


주가가 일정 범위 안에서 등락을 거듭한다는 뜻은 그 부근의 가격대에서 가격의 하락과 상승을 막을만한 만큼의 투자자의 수가 형성이 됐다는 뜻이고, 지지기반이 마련된만큼 이익을 지키기 위해 반복적으로 행동할 가능성이 높기 떄문입니다. 

 

 

 

 


3, 높은 거래량

 


지지선과 저항선 부근은 매매가 많이 일어나는 구간이므로 거래량이 많아지는것이 일반적입니다. 주식 가격이 변동이 없다는건 사고파는 거래량이 미미하거나, 매도와 매수세가 비슷한 경우이고, 주가가 상승하거나 하락려면 사람들이 많이 사거나 팔아야 합니다. 그렇다면 주가가 변동하는 부분에는 거래량이 많아야하고, 주가가 급상승 혹은 하락하는데는 단기간에 더 많은 거래량이 필요할겁니다. 이러한 이유로 주가가 지지선과 저항선을 넘어서려면 이전 구간보다 많은 거래량이 나타나게 됩니다. 



4, 지지선은 정확하게 캔들에 닿지 않아도 됩니다. 완벽한 직선을 만들기 보다는 가격이 더이상 떨어지지 않는 구간을 찾는것이 목적입니다. 




5, 주가가 지지/추세선을 이탈하면 기존과는 다르게 큰 폭으로 상승/하락할수 있습니다.  

 

지지선 이탈 후 급하락

 

 

 

 

시장의 악재나 호재, 혹은 참여자들의 이탈로 기존의 흐름이 바뀐다면 급속도로 그 행렬에 동참하는게 투자자들의 심리입니다. 지지선이 무너지고 하락이 시작된다면 상승세보다 공포감 때문에 하락세가 더 빠르고 강한 경우가 많습니다.  



6, 너무 짧은 1분 봉, 15분 봉 등의 차트에서는 지지선과 저항선이 다른 시간대의 차트에서보다 신뢰도가 떨어지는 경우가 있습니다. 추세를  결정하기에는 너무 짧은 시간이기 때문입니다. 정확한 기준은 없지만 대체로 일봉 이상의 차트에서 신뢰도가 높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이번 편에는 지지선과 저항선이 생기는 원리와 특징에 대해 알아봤고, 다음편에는 그 활용 방법과 주의사항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